티스토리 뷰

무량수전, 조사당을 비릇하여 국보 5점, 보물 6점, 유형문화재 2점 등 소중한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 중 하나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조사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영주 부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산 국립공원 봉황산에 있는 사찰입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입니다.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사찰입니다. 화엄의 대교를 펼치던 곳으로 창건에 얽힌 의상과 선묘 아가씨의 애틋한 사랑의 설화가 유명한 곳입니다. 교과서에 자주 등장해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부석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곳입니다. 사계절 언제나 아름다운 곳이지만 일주문을 지나면 온통 은행나무들로 가득하여 가을의 경치가 가장 아름답습니다. 약 1300년의 역사를 가진 고찰로 오랫동안 화엄사상이 전해져 내려오는 곳입니다. 부석사의 이름을 직역하면, `땅에서 뜬 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의 설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이 당나라로 유학을 갔을 때, 어느 신도의 집에 머물렀는데 집주인의 딸 선묘라는 여인이 의상을 사모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의상은 승려라서 끝내 선묘의 애정을 거절했고, 공부를 마친 의상이 귀국길에 오르는데, 소식을 뒤늦게 접한 선묘가 해안으로 달려갔을 때는 이미 의상이 탄 배는 멀리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선묘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법복과 여러 가지 용품이 담긴 함을 바다에 던지며 배에 닿기를 기원하며 용으로 변하여 대사를 모시고 불도를 이루게 해 달라는 주문을 외우고 바다에 몸을 던져 용이 되어 의상의 귀국 뱃길을 안전하게 지켰다고 합니다. 이후 태백산 줄기에 절터를 발견한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 그 터에서 도적 생활을 하던 산적을 만나 선하게 살 것을 당부하고 절을 짓게 해달라고 하였으나, 산적들은 의상을 죽이려 했고, 이때 선묘룡이 나타나 번개를 일으키고 봉황이 나타나 큰 바위를 세 번이나 공중에 들었다 놓았다고 합니다. 결국 산적들은 의상의 제자가 되어 불사를 도왔으며 `돌이 공중에 떠 있다`고 해서 부석이라 짓고, `봉황이 나타났다`고 해서 봉황산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이 설화에 따라 부석사에는 선묘에게 제례를 지내는 선묘각이 있습니다.

     

    무량수전

    목조건물로 공민왕이 하사한 현판이 있습니다. 무량수전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단층 팔작지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기둥은 아래와 위는 좁지만 가운데 부분은 항아리 모습처럼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배흘림기둥이라 하는데, 구조적인 안정감을 줍니다. 주심포 양식으로 전체적으로 간결함을 보여줍니다. 국보 제1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무량수전 앞 석등은 국보 제17호로서 소중한 문화재입니다.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팔각형 석등입니다. 사찰의 대웅전이나 탑 앞에 석등을 세우며, 석등은 불을 켜서 어두운 곳을 밝히는 돌로 만든 등을 의미하여 광명등이라고 합니다. 무량수전 앞 석등은 바닥에 네모난 돌바닥이 있고 그 위에 3단의 받침돌, 화사석 지붕돌이 차례로 놓여있는 모습입니다. 바닥돌의 옆면에는 꽃 모양의 장식이 새겨져 있습니다. 바닥돌 위에 있는 아래 받침돌에는 큼직한 8개의 연꽃잎을 표현하였습니다. 아래 받침돌 위에 놓인 팔각기둥 받침돌은 굵기와 높이에서 매우 아름다운 조화를 보입니다. 통일신라시대 석등 중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그 시대 석조 예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재입니다.

     

    조사당

    무량수전 뒤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올라가면 의상대사의 초상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생전에 거처하신 조사당이 있습니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작은 건물이지만 고려 우왕 3년(1377)에 지어졌고, 조선 성종 21년(1490)과 성종 24년(1493)에 다시 고쳐졌습니다. 우선 1201년에 단청을 했다는 기록도 있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내부에는 사천왕, 보살상 등 희귀한 고려 시대의 불화가 있습니다. 건물 앞에 뜬금없이 철장이 있고 그 안에 선비화(골담초)라는 작은 나무가 하나 있습니다. 전해 내려오는 전설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지팡이를 꽂았더니 거기서 뿌리가 생겨 지금까지 살아있다고 합니다. 건물 처마 아래에 있어 비나 이슬을 맞지 않고도 수백 년 이상을 살아왔습니다. 철장을 만든 이유는 이 나뭇잎을 따서 달여 먹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하여, 잎을 너무 많이 따가는 바람에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