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세상을 떠나 하늘에 이르면 염라대왕이 묻는다. `자네, 고운사는 다녀왔는가?` 구름 위의 누각 가운루, 황실 기념 건축물 연수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봉정사와 부석사 등 60여 개의 말사를 두고 있는 고운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고운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입니다.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연꽃이 반쯤 핀다는 `부용반개형상`의 천하명당자리에 터를 잡고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상께서 창건하신 사찰입니다. 신라 말 불교와 유교, 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 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 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를 빌어서 고운사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 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는 5개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가 있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 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입니다. 특히 고운사는 해동제일지장도량이라 불리는 지장보살영험성지입니다. 예로부터 죽어서 저승에 가면 염라대왕이 `고운사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다고 하는데 지장보살의 원만 자비하신 풍모는 물론이거니와 명부십대왕의 상호화 복장도 다른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위엄과 정교함을 자랑합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불교 31총본산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조계종 제16교구의 본사로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대소 사찰들을 관장하고 있습니다. 사세가 번창했을 당시에는 366동의 건물에 200여 명의 대중이 상주했던 대도량이었습니다. 해방 이후 쇠락하여 사찰의 많은 재산이 망실되고 지금은 이십여 명 대중이 상주하는 교구본사로는 작은 규모의 사찰로 전략하였습니다. 하지만 10여 년 전부터 중창불사의 뜨거운 원력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낡은 건물들을 수리 및 개보수하여 지금은 위풍당당한 위상과 소박하고 절제된 수행지로서의 이미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가운루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인 가운루는 경북 유형문화재 제 151호 입니다. 신라 말 최치원이 입산해 여지, 여사 두 대사와 함께 가허루를 지었다고 전해지며, 후일 최치원의 호를 따서 가운루로 그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합니다. 가운루는 구름 위의 누각이란 뜻입니다. 누각 형식의 건물로 조계문과 천왕문을 들어서면 서쪽을 바라보는 정면이 바로 보입니다. 건물의 앞면과 양쪽 측면은 판벽으로 지어졌으며, 앞쪽 중앙 세 칸에는 가운데 설주가 있는 쌍여닫이 판창문이 있고, 남측면에는 판문으로 된 출입문을 두었습니다. 북측 면의 동쪽 칸에는 위아래로 누각을 오르내리는 계단이 나무로 짜여 있고 양 여닫이 판문을 달아 누각에 들어가게 하고 있습니다.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이 지배적이지만 각 부분의 세부적인 형태에서 각기 다른 시대의 수법을 나타내고 있어 몇 차례의 중수과정을 거쳤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익공계 건물에 귀 기둥만 2익 공으로 꾸민 점과 산지 가람에서 계곡 위에 꾸민 형식 등은 흔치 않은 예입니다. 계곡 위의 누각은 다리의 기능을 하는데, 가운루는 다리와 강당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구조입니다. 고운 최치원은 신라 최고의 지성이라 일컬어지는 인물입니다. 12세 때인 868년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6년 만에 과거에 합격했고,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습니다. 42세 무렵 관직을 버리고 세상을 떠돌다 신선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연수전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해 1904년에 세운 기로소 원당이다. 기로소는 70세 이상 정 2품 이상의 문관을 우대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로 국왕의 경우 60세를 넘으면 기로소에 입소한다. 조선시대에 걸쳐 기로소에 입소한 왕은 태조, 숙종, 영조, 고종 등 4명에 그친다. 고운사 내에 있던 영조의 기로소 봉안각의 전례를 따라 세워진 대한제국의 황실 기념 건축물이다. 규모는 작지만 황실 건축에 걸맞은 형식과 기법, 장식을 갖추고 있으며 다른 예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기능과 건축의 형식은 귀중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약사전 맞은편에는 품위 있게 낡은 연수전이 보전되어 있습니다. 나침판의 바늘이 꼼짝하지 않을 정도로 기가 센 자리라 합니다.